퇴직금과 퇴직연금, 헷갈리지 마세요! 간단하게 계산하는 방법 알려드릴게요!
목차
Thank you for reading this post, don't forget to subscribe!- 퇴직금과 퇴직연금, 핵심 차이점 파악하기
- 퇴직금 계산 방법: 3가지 간단한 단계
2.1. 1일 평균 임금 계산하기
2.2. 근속기간 계산하기
2.3. 퇴직금 계산하기 - 퇴직연금 계산 방법: 간단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하기
- 궁금증 해결! 퇴직금과 퇴직연금 관련 Q&A
1. 퇴직금과 퇴직연금, 핵심 차이점 파악하기
퇴직금과 퇴직연금은 퇴직 시 받는 돈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, 받는 방식과 자금 마련 방식에서 핵심적인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퇴직금:
- 받는 방식: 퇴직 시 일시에 지급
- 자금 마련 방식: 회사가 근로자의 급여에서 일정 비율을 떼어 적립 (근로자 본인 부담 없음)
- 퇴직연금:
- 받는 방식: 퇴직 후 매달 또는 일시에 지급 (선택 가능)
- 자금 마련 방식: 회사와 근로자가 함께 일정 비율을 납부 (각각 최대 6.5%)
2. 퇴직금 계산 방법: 3가지 간단한 단계
퇴직금 계산은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, 3가지 간단한 단계를 통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.
2.1. 1일 평균 임금 계산하기
- 기준: 퇴직일 이전 3개월 동안 지급받은 임금 총액
- 계산 방법:
- 퇴직일 이전 3개월 동안 지급받은 임금 총액을 퇴직일 이전 3개월간의 총 날짜 수로 나누기
예시:
- 퇴직일 이전 3개월 동안 지급받은 임금 총액: 12,000,000원
- 퇴직일 이전 3개월간의 총 날짜 수: 90일
- 1일 평균 임금: 12,000,000원 ÷ 90일 = 133,333원
2.2. 근속기간 계산하기
- 기준: 회사에 근무한 총 기간 (만 단위)
- 계산 방법:
- 입사일부터 퇴직일까지 근무한 총 기간을 계산하기
예시:
- 입사일: 2020년 3월 10일
- 퇴직일: 2024년 7월 11일
- 근속기간: 4년 4개월 1일 (만 4년 4개월 계산)
2.3. 퇴직금 계산하기
- 공식: 1일 평균 임금 × 30일 × (근속기간 ÷ 365)
- 계산 예시:
- 1일 평균 임금: 133,333원
- 근속기간: 4.33년 (4년 4개월 ÷ 12개월)
- 퇴직금: 133,333원 × 30일 × (4.33년 ÷ 365) = 5,166,666원 (약 516만원)
3. 퇴직연금 계산 방법: 간단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하기
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(https://www.nps.or.kr/) 에서 제공하는 간단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상 퇴직연금 액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**4. 궁금증 해결! 퇴직